• 유튜브 바로가기
Top
기사 메일전송
“영화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신철 집행위원장, 칸 필름마켓 컨퍼런스에서 역설
  • 고동호 기자
  • 등록 2022-05-25 10:03:28
기사수정

신철 BIFAN 집행위원장은 19일 오전(현지시간) 칸영화제 필름마켓 컨퍼런스에서

“영화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그에 따른 발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스포츠디비=고동호 기자] “이제는 영화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신철 집행위원장이 제75회 칸영화제 필름마켓 ‘페스티벌 허브’ 컨퍼런스에서 “영화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급변하는 디지털 혁명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영화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정의 바뀌어야 하고, 일련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페스티발 허브’ 컨퍼런스는 전 세계의 국제영화제 간의 새로운 시너지 창출을 위해 지난해 출범한 칸영화제 필름마켓의 프로그램이다. 한국의 영화제 가운데 BIFAN이 최초로 참여했다.


칸영화제 본관 뤼미에르 극장 내 ‘마리나 스테이지’(Marina Stage). 올해 ‘페스티벌 허브’ 컨퍼런스는 이곳에서 지난 19일 오전 11시 30분(현지 시간)에 막이 올랐다. ‘새로운 영화제의 시대: 하이브리드를 넘어 확장’(The New Era of Festivals: Expanding beyond Hybrid)을 주제로, 지난 2년간 코로나19 팬데믹이 영화제에 끼친 영향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신철 집행위원장을 비롯해 인도 푸네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자바 파텔(Jabbar Patel), 체코 카를로비바리국제영화제 산업본부장 휴고 로작(Hugo Rosák), 영국영화협회의 프로그램 매니저 테건 베버스(Tegan Vevers)가 연사로 참여했다. 더 페스티벌 에이전시(The Festival Agency) 설립자 겸 대표인 레슬리 뷔쇼(Leslie Vuchot)가 모더레이터를 맡았다.

본격 토론에 앞서 레슬리 뷔쇼는 “하이브리드 개최 비율이 상당히 높아졌다”면서 52개 국가의 영화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난 2년간의 영화제의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 등을 소개했다. 영화제의 변화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소: 15%(2020년) 6%(2021년), 하이브리드: 23%(2020년) 42%(2021년), 오프라인(in-person): 27%(2020년) 34%(2021년), 온라인: 35%(2020년) 18%(2021년)’

신철 집행위원장은 “코로나19 이후 BIFAN은 2/3 규모로 영화제를 축소했지만, 온라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배우게 된 점이 많았다”고 했다. 영화제의 변화에 대해 “급변하는 디지털 혁명 속에서 팬데믹 이전부터 변화의 조짐이 드러났고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BIFAN은 코로나19 이전부터 전통적인 영화제에서 탈피한 변화를 준비하고 있었다”면서 “BIFAN은 팬데믹이 발발한 2020년 국내 영화제 중 최초로 오프·온라인을 병행한 하이브리드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강력한 거리두기에 따라 전체 좌석을 30~35%만 운용한 2020년에는 오프라인 9952명, 온라인 1만758명이 관람했고 2021년은 오프라인 1만4640명, 온라인은 2만595명이 관람했다”고 덧붙였다.


레슬리 뷔쇼는 이와 관련 “하이브리드 방식 가운데 온라인 상영에 상당수의 관객이 몰렸다”면서 “25%가량의 영화제들이 전체 관객 수를 증가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 신철 집행위원장이 칸영화제 필름마켓 ‘페스티벌 허브’ 컨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무대 위 왼쪽부터) 모더레이터 레슬리 뷔쇼, 신철 집행위원장, 인도 푸네국제영화제 자바 파텔 집행위원장, 영국영화협회 프로그램 매니저 테건 베버스, 체코 카를로비바리국제영화제 산업본부장 휴고 로작.


신철 집행위원장은 영화제들이 팬데믹에 맞서 살아남기 위해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제안했다. 우선 “드라마 <왕좌의 게임> <오징어 게임>과 VR(가상현실)·XR(확장현실), 그리고 유튜브·틱톡 등의 스토리텔링 플랫폼의 영상들은 왜 영화라고 부르면 안 될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영화가 시각적 스토리텔링 매체 중에서 예술적으로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무의식적 공감대 때문인 듯하다”고 풀이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셀룰로이드 필름으로 영화를 촬영하거나 상영하지 않음에도 여전히 ‘필름 페스티벌’이라고 부른다”면서 “이제는 영화를 둘러싼 변화에 맞춰 견고한 벽을 깨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신철 집행위원장은 “유튜브·틱톡 플랫폼 등의 영상들을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젊은 관객층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확장이 필요하다”면서 “숏폼, 시리즈 등 다양한 포맷들을 영화라고 불러야 하지 않겠느냐”고 제안했다. “영화 생태계 전반에 찾아온 급격한 변화 속에서 영화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지 모색하고 이에 앞서 영화를 새롭게 정의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휴고 로작 산업 본부장은 “극장에서 함께 손뼉을 치며 영화 관람을 하는 경험은 영화제에서 중요하다”면서 “젊은 관객 접근과 디지털 환경에 따른 확장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고 화답했다. 테건 베버스 프로그램 매니저는 “영화제는 신인 독립영화 감독들을 소개한다”며 “영화제는 이들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역할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영화인·관객이 접촉하는 축제로서의 중요성도 큰 만큼 이전의 관람환경과 변화된 환경 사이의 균형 있는 접근이 중요하다는 데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아시아 최대 장르영화제인 BIFAN은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세계 유수의 영화제들과 네트워크 구축과 협업의 발판을 만들어나갈 예정이다.


제26회 BIFAN은 ‘이상해도 괜찮아’(Stay Strange)라는 슬로건 아래, 7월 7일부터 17일까지  오프·온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개최한다. 부천시 일대 극장과 OTT를 통해 만날 수 있다. ‘영화의 거리’와 중앙공원·안중근공원 등에서는 갖가지 행사를 마련, 시민·관객과 함께한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